여름철, 식중독을 피하기 위한 현명한 식습관

 여름철이면 어김없이 식중독 사고가 증가합니다. 더운 날씨에 음식 보관이 어려워지고, 세균이 활발히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외식이 잦아지는 시즌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중독은 단순한 배탈로 끝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병원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에 예방이 최우선입니다.


다음 자위용품에 대한 최신뉴스 이곳에서 확인해 보세요.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음식의 ‘보관 온도’입니다. 세균은 일반적으로 섭씨 5도에서 60도 사이의 온도에서 가장 활발하게 번식하는데, 이 구간을 흔히 ‘위험 온도대’라고 부릅니다. 즉, 냉장 보관이 제대로 되지 않은 음식이나, 덥고 습한 실온에서 오랫동안 방치된 음식은 섭취 자체가 위험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특히 김밥, 샐러드, 유부초밥, 조리된 육류나 해산물 등은 여름철 실온에 조금만 있어도 세균이 빠르게 번식하므로, 가능한 한 신선하게 바로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리 도구와 손 위생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조리 중 손을 자주 씻지 않거나, 도마와 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생고기와 채소, 과일을 같은 칼과 도마로 손질하는 것은 교차오염의 대표적인 사례로, 세균이 전이될 수 있습니다. 육류, 생선, 채소 등을 손질할 때는 반드시 각각 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 씻기 또한 재료를 바꿀 때마다 습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은 음식의 보관도 중요합니다. 요리를 한 뒤 먹다 남은 음식은 가능한 한 빨리 식혀서 냉장고에 보관해야 하며, 다시 데워 먹을 때는 충분히 가열해서 중심 온도가 75도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겉만 데운 음식은 내부까지 세균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 등을 사용할 때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또 한 가지 간과하기 쉬운 부분은 ‘생수’입니다. 생수를 병째 들고 마시다가 입을 댄 부분으로 인해 세균이 번식할 수 있으며, 이후 실온에 오래 두면 그 안에서 박테리아가 증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한 번 마시기 시작한 생수병은 냉장고에 보관하더라도 빠른 시일 내에 소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식할 때는 개인이 할 수 있는 예방도 중요합니다. 음식이 눈으로 보기에 멀쩡하더라도, 상온에 오래 놓여 있었던 음식은 가능하면 피해야 하며, 특히 뷔페처럼 많은 사람이 오가는 곳에서는 음식이 얼마나 신선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교체 주기나 관리 상태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차가운 음식은 차게, 뜨거운 음식은 뜨겁게 보관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 선택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안전한 식사를 위한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같은 음식이라도 한 번에 많은 양을 덜어 와서 천천히 먹기보다는, 먹을 만큼만 소량씩 자주 가져오는 것이 위생적인 면에서 유리합니다. 덜어온 음식이 접시에 오래 남아 있으면 그 사이에도 세균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입에 넣은 수저나 젓가락으로 음식 접시를 다시 건드리는 것도 타인에게 위해가 될 수 있으므로, 공용 음식 앞에서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식중독은 예방이 어렵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위생 수칙과 조심스러운 태도만 지켜도 상당 부분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여름철 무더위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시기에는 특히 조심해야 하며,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음식은 섭취를 피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입니다. 당장의 맛이나 편리함보다 몸을 먼저 생각하는 식습관이 필요합니다.

댓글